[성철스님 추모 기사]
불국정토 구현을 가피하여 주시옵소서
페이지 정보
월주스님 / 1998 년 9 월 [통권 제11호] / / 작성일20-05-06 08:33 / 조회15,206회 / 댓글0건본문
성철 대종사 열반 5주기 추모 및 사리탑 회향
추모사2 불국정토 구현을 가피하여 주시옵소서
월주/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5년 전 성철 대종사의 열반 소식은 비단 교계뿐만 아니라 전 국민적인 슬픔이었습니다. 경계에 따라 변하는 것이 마음인지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추모의 마음도 잦아드는 것이 인지상정이겠지만, 대종사의 열반 5주기를 맞는 종도들의 마음은 대종사에 대한 그리움으로 더욱 애틋해지기만 합니다.

성철 큰스님께서는 조선왕조 오백 년의 억불 정책과 일제시대 왜색불교로 침체되고 피폐되어 쇠미해진 임제의 종풍을 다시 선양하였습니다. 돌이켜 생간컨대, 성철 큰스님께서 이르시는 한 마디 게송은 곧 사천만 국민 모두의 화두가 되었고, 깨달음을 향한 불퇴전의 원력을 세우고 장좌불와의 수행정진을 멈추지 않으시며 널리 후학을 제접한 것은 대스승의 진면목이었습니다. 무소유로 일관하신 스님의 행장은 인천의 귀감이었으며, 모든 국민들 심지어 타종교인과 외국인들까지 큰스님을 친견하여 가르침을 청하였으니 실로 뭇 생명의 대스승이라 하겠습니다.
이제 성철 큰스님의 열반 5주기를 맞아 문도회와 해인사가 사부대중의 여망을 모아 사리탑을 건립하여 회향하게 되었습니다. 성철 큰스님의 사리탑은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형태를 따르지 않고 파격을 보임으로써 살활자재(殺活自在)한 선가의 일미(一味)를 담고 있습니다. 위로 원구(圓球)을 올리고 아래로 반구(半球)를 중층(重層)함으로써 성철 큰스님과 불교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은 매우 독창적인 것입니다. 살피니 푸른 산에 둥근 바퀴가 걸린 형상입니다. 큰스님께서는 열반하시기 전에 “일생 동안 남녀의 무리를 속여서 하늘을 넘치는 죄업은 수미산을 지나친다. 산채로 무간지옥에 떨어져서 그 한이 만 갈래나 되는지라 둥근 한 수레바퀴 붉음을 내뱉으며 푸른 산에 걸렸도다”는 게송을 남기셨습니다. 그런데 오늘 사리탑을 보니 그 형상이 둥근 수레바퀴가 푸른 산에 걸린 일륜괘벽산(一輪掛碧山)인지라, 성철 큰스님께서 마지막으로 내리신 게송이 오롯이 담겨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진정 큰스님의 위신력이요, 문도 여러분과 해인사 대중의 원력이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성철 큰스님께서 열반하신 후 5년 동안 우리 종단은 종도들의 염원을 모아 종단 개혁 불사를 원만히 성취하였으며, 종단을 안정시키고 종도 대중이 화합하는 가운데 21세기 불교 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토양을 형성하였습니다. 종단이 안정과 화합이라는 기반 위에 승풍을 진작시키고 상구하화(上求下化)를 병행함으로써 일체중생을 제도하는 것이 성철 큰스님의 가르침을 받드는 것입니다. 성철 큰스님의 열반 5주기를 추모하는 이 자리에서 소납은 종단의 안정과 번영을 위하여 매진하라는 성철 큰스님의 가르침과 종도 대중의 뜻을 높이 받들고자 합니다.
앙망하오니, 성철 큰스님이시여!
비록 열반에 드셨으나 세간에 대한 연민과 종단에 대한 원력으로 종단이 부단한 개혁과 발전을 통하여 종도 대중을 깨달음으로 이끄는 참된 화합승단이 되고 널리 중생을 교화하여 불국정토의 구현을 향도할 수 있도록 가피하여 주시옵소서.
여기 모인 대중 모두는 큰스님의 가르침을 받들어 종단의 화합과 발전, 수행과 전법에 일로매진할 것을 서원하오니 대자비로 감응하여 주시옵소서.
끝으로 성철 대종사 사리탑 건립 불사가 원만하게 회향되도록 힘쓰신 문도 여러분과 해인사 대중 스님, 그리고 모연에 동참해 주신 사부대중 여러분에게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1998년 11월 8일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성철대종사사리탑건립추진위원장 송월주 분향 삼배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운문삼구, 한 개의 화살로 삼관을 모두 뚫다
중국선 이야기 49_ 운문종 ❹ 운문종을 창립한 문언은 이미 조사선에서 철저하게 논증된 당하즉시當下卽是와 본래현성本來現成의 입장에서 선사상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을 앞에서 언급하였다. 그리고…
김진무 /
-
연등글로벌네트워크, 룸비니에서 의료봉사 활동
지난 2020년, 네팔 룸비니 IBS 국제무료병원과 백련불교문화재단(이사장 원택 스님)의 MOU 체결을 계기로 국제구호협력 활동을 펼쳐 왔습니다. 그리고 최근 강화도 국제연등선원(Lotus lant…
편집부 /
-
불립문자와 언하대오의 발원지 붓다
“도반들이여, 마치 목재와 덩굴과 진흙과 짚으로 허공을 덮어서 ‘집’이란 명칭이 생기는 것처럼, 그와 같이 뼈와 신경과 살과 피부로 허공을 덮어서 ‘몸[色]’이라는 명칭이 생깁니다.”(주1) - 『…
박태원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