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 길라잡이 ]
12연기와 『금강경』의 사상
페이지 정보
일행스님 / 2025 년 1 월 [통권 제141호] / / 작성일25-01-04 21:36 / 조회418회 / 댓글0건본문
[질문]
지난번 『쌍윳따니까야』 경전 공부 중에 아상我相은 ‘주관적 자아’, 인상人相은 ‘객관적 자아’라고 설명하시는 것을 잠깐 들었습니다. 그래서 『금강경』 사상四相의 아상, 인상 역시 그렇게 보고 이해를 하고 있는데, 중생상衆生相은 잘 모르겠습니다. 무엇을 중생상이라고 하는지요? 그리고 수자상壽者相도 부탁드립니다.
[답변]
일전에 아상我相은 ‘주관적으로 느끼는 나’이고, 인상人相은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나’라고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경전 『쌍윳따니까야』에는 이런 표현이 곧잘 등장합니다.
이것은 나의 것이고,
이것은 나이고,
이것은 나의 자아自我이다.
여기서 ‘나’는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드러난 나의 모습, 즉 인상人相을 말합니다. 현재 내가 나를 인식하고 있는 모습은 사람의 형태입니다. ‘나의 자아’는 내 깊은 의식 속에 스며 있는, 주관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현재 알지 못하고 있는 ‘자아의식’, 즉 아상我相을 말합니다.
나의 존재방식은
왜 ‘나’를 이렇게 ‘객관적인 나’와 ‘주관적인 나’로 구분지어 언급하는 걸까요?
우리의 존재방식은 명색名色입니다. 즉 의식[마음/명名]과 육체[물질/색色]가 결합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내가 현재 인식하고 있는 ‘나라는 존재’는 명색 전체로서 지각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인상人相입니다. 이 인상이 나의 깊은 의식 속에 내가 알고 있는 ‘나’라는 정보로 심어지고[형성되고] 있고, 이렇게 심어진 정보는 현재 내가 일으키는 마음작용을 물들이는[형성하는] 정보(업력業力)로 작용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이 인상은 깊은 의식에 심어지면서 훗날 미래의 나를 복원시키려는 아상으로서의 잠재된 끌림으로 작용합니다.
12연기의 2번째 ‘행行’은 ‘형성形成’으로 번역하는데, 3번째 ‘식識’을 물들이는 잠재적 충동력인 셈입니다. 이 형성으로 말미암아 물든 식識이 있게 되고, 이 식의 물듦이 인연의 끌림으로 작용하여 태胎에 들게 되고, 그렇게 하여 이 세상에 육체와 정신이 결합된 ‘명색名色’의 존재방식으로 태어나게 됩니다.
사람이기에 인상人相이라고 이름 붙였지만, 각각의 생명체가 스스로를 지각하는 지능이 있다면 자신의 현재 모습대로 자신을 지각하게 되겠죠. 그래서 인상은 객관적 자아라고 하는 것입니다.
12연기법과 사상
12연기緣起에 대한 언급이 나왔으니, 『금강경』의 사상四相을 계속해서 12연기법에 견주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2연기는 첫 언급의 시작을 ‘무명無明’으로 하고 있습니다. 변화의 흐름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착각과 오류가 일어나는 것은 ‘알지 못함’에 기인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윤회輪廻라는 변화의 흐름 속에 있습니다. 그 흐름 속에서의 모든 존재의 생성과 소멸은 단지 그 흐름의 한 단면이고 한 현상일 뿐입니다. 그래서 모든 현상, 즉 성成·주住·괴壞·공空, 생生·노老·병病·사死, 생生·주住·이異·멸滅 등 그 어떤 것도 흐름에서의 변화의 모습들이기에 모두 자연스러운 것이며 잘못된 현상이 아닙니다. 그런데 우리는 그러한 사실을 사실 그대로 보지 못하고 입맛대로 왜곡해서 보는 그릇된 견해가 있어서 결국 마음에 괴로움이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릇된 견해는 무엇 때문에 일어나는 것일까요?
12연기에서 첫 번째 ‘알지 못하는 상태’, 무명無明 상태임을 전제前提로 하면서 두 번째로 언급하는 것이 업業입니다. 업은 ‘행위’에 대한 ‘정보情報’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업은 두 가지 측면에서 구분해서 언급합니다. ‘심어지는 업’과 ‘제공되는 업’입니다. 심어지는 업은 ‘정신의식에 의해서 깊은 의식으로 가는 업’이고, 제공되는 업은 ‘깊은 의식에서 정신의식으로 가는 업’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업業은 어디에서 일어나는 것일까요?
지금 나의 의식[마음]에서 일어납니다. 정신의식은 ‘인식’과 ‘반응’을 합니다. 이 인식과 반응은 식識이 일으키는 움직임, 즉 행위입니다. 그 행위를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합니다. 정신적 행위, 언어적 행위, 신체적 행위가 그것입니다. 이를 삼업三業이라고 합니다. 행위는 사라져도 행위에 대한 기억은 남게 됩니다. 행위는 정신의식이 일으키고, 그 기억은 깊은 의식에 저장됩니다. 이 저장되는 업業을 ‘심어지는 업’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정신의식에 의해서 일어난 행위, 즉 업[삼업]이 있고, 그 업이 깊은 의식에 저장되는 것입니다. 이 저장된 업은 언젠가 다시 정신의식에 제공되어 인식과 반응이라는 식識의 활동을 제약하고 구속하는 요인要因으로 작용합니다. 이를 업력業力이라고 하며, 12연기의 두 번째 ‘행行’으로 언급되어집니다.
이 2번째로 언급되는 행行으로 말미암아 ‘나’라고 여기는 자아의식이 출현하게 되는데, 이를 아상我相이라고 하며, 인상人相이 가미加味된 자아의식[12연기의 3번째 ‘식識’]입니다. 인간으로 살면서 심어진 자아에 대한 정보[심어진 인상人相]는 사람이라는 정보가 많이 들어 있겠지요. 이렇게 인상人相이 가미된 아상我相에는 자신의 옛 모습을 복원시키려는 끌림이 있게 되고, 이 끌림은 자연스럽게 익숙하다고 느껴지는 태胎와 인연되게 합니다. 그래서 육체와 결합된 존재방식으로 생겨나게 되는데, 이를 불교적 표현으로는 ‘명색名色’[12연기의 4번째]이라고 합니다. 성장하여 인식을 할 즈음부터 현재의 나의 모습을 ‘나’라고 알게 되는데, 이를 인상人相이라고 합니다. 의식 속에 심어지는 나에 대한 정보가 되는 셈입니다.
이렇게 생겨난 물질적인 몸에는 대상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기관이 있습니다. 이를 육근六根이라고 합니다.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가 그것입니다. 이 감각기관에 의해 내 안에 들어온 대상의 정보가 있습니다.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이라는 육경六境입니다. 이 육근에 의한 육경이 나의 정신의식에 들어온 대상에 대한 정보인데, 이를 ‘육입六入’[12연기의 5번째]이라고 합니다.
이 육입에 의한 정보에 정신의식이 주의를 기울이면 비로소 접촉이 일어나고[12연기의 6번째 ‘촉觸’], 이로 인하여 느낌[12연기의 7번째 ‘수受’]이라는 의식작용이 비로소 일어나게 됩니다. 이 느낌에 영향받아서 ‘개념적인 지각’이 일어나게 되는데, 소위 입맛에 따른 왜곡된 인식입니다. 그 인식에는 자아를 충족시키려는 욕망[12연기의 8번째 ‘애愛’]이 있습니다. 그 욕망으로 인해 대상에 대한 나의 반응은 집착[12연기의 9번째 ‘취取’]으로 전개되어집니다.
여기서 질문을 볼까요. 중생상衆生相을 물으셨죠?
현재 나의 마음 작용에는 욕망과 집착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내 마음은 들뜨기도 하고, 좌절하기도 합니다. 이를 괴로움이 있는 상태라고 하는 것이죠. 이렇듯 현재의 나의 마음은 애愛·취取가 들끓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렇게 경계에 따라서 마음이 동요動搖하고 있는 모습을 ‘중생상衆生相’이라고 하는 겁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자기 충족을 위한 자기 본위로 세상을 살면서 내 의식에는 ‘나라는 자아의식’이 점점 자라게 되고, 내가 지각하고 있는 나 자신을 계속해서 유지·보존하려는 근본 욕망 또한 강성해지게 됩니다. 이를 사상四相 중의 마지막 ‘수자상壽者相’이라고 하며, 12연기의 10번째 ‘유有’를 수호守護하려는 욕망입니다. 이 유有는 ‘존재한다는 자아의식’으로 지금 내 안에서 일어나는 애愛·취取라는 중생심衆生心에 의해 덧씌워지고(업데이트되고/형성되고), 이렇게 덧씌워져 심어진 변화된 자아의식은 앞으로 대상을 접촉함으로써 일어나는 마음을 왜곡하는 형성의 업력業力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렇게 무명으로 시작하여 물든 인식이 일어나는 존재의 상태를 해결하지 못하면, (『금강경』의 사상四相에 빗대어 말하자면) 아상我相·인상人相·중생상衆生相·수자상壽者相을 해결하지 못하면, 윤회輪廻의 흐름 속에서 여전한 끄달림에 의한 ‘생生’[12연기의 11번째]이 있게 되고, 이 태어남으로 인해 갖가지 괴로움의 증상인 ‘노老·사死·우憂·비悲·고苦·뇌惱’[12연기의 12번째] 또한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질문은 간단한데, 언급하다 보니 말이 길어지고, 내용 또한 다소 난해難解해졌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성철스님께서는 “『금강경』의 사상四相을 ‘주관’, ‘객관’, ‘공간’, ‘시간’으로 풀이하셨다.”라고 하십니다. 이는 스님의 맏상좌인 천제스님께서 알려주신 내용입니다. 이를 빗대어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상我相은 깊은 의식에 심어져 있는, 근원적인 자아의식으로 ‘주관적인 나’입니다. 이것이 제공되는[형성] 업 속에 깃들어 있어 의식을 물들입니다.
- 3번째 ‘식識’, 에고의 출현
•인상人相은 명색名色이라는 존재방식으로 있는 동안 자신을 지각하는, 현상적인 자아의식으로 ‘객관적인 나’입니다.
- 4번째 ‘명색名色으로 느끼는 나’
•중생상衆生相은 현재 나의 내면이라는 공간[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아를 기반基盤한 중생의 모습(마음작용)입니다.
- 8번째 ‘애愛’·9번째 ‘취取’의 발현
•수자상壽者相은 자아를 영속永續시키려는 시간적인 측면에서의 욕망의 모습입니다.
- 10번째 ‘유(有)’의 수호守護
평소 『금강경』의 사상四相을 12연기緣起와 연결하여 사유思惟하곤 하였는데, 질문 덕분에 글로써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공부 수행하는 데 좋은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정림사 일행스님의 글을 더 보실 분은 https://cafe.daum.net/jeonglimsarang을 찾아주세요.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아득히 멀고 먼 따왕사원
따왕사원이 자리 잡은 아루나찰주는 아득히 멀다. 거대한 인도대륙에서도 최동북부에 자리 잡고 있는 곳으로 이름마저도 ‘해가 뜨는 곳’으로 불린다. 북쪽으로는 티베트, 남쪽으로는 방글라데시, 동쪽으로는…
김규현 /
-
지금 바로 이 순간, 연근 톳밥
요즘 우리 사회는 있지도 않은 행복을 과장하고 자랑하기 위해 사는 삶보다 아주 보통의 하루를 사는 삶으로 피로감을 줄이고, 지금 바로 이 순간이 우리 삶에 얼마나 큰 행복감을 주는지 알아가는 중이란…
박성희 /
-
의상조사 법성게 강설 ②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무량원겁즉일념無量遠劫卽一念 하나가 전체고, 전체가 하나로 제법이 융통무애하기 때문에 무량한 원겁이 즉 일념이고 일념 이대로가 무량원겁…
성철스님 /
-
독일 ❶ 독일에 불법을 펼쳐 온 함부르크불교협회
이 글에서는 함부르크불교협회를 소개하고, 지난 70년의 역사와 함께 협회가 추구하는 바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또한 제가 불교와 인연을 맺게 된 여정과 함부르크불교협회로 오게 된 이야기도 함께 나누…
고경 필자 /
-
원불願佛, 나를 향상의 길로 이끄는 부처님들
질문요즘은 어느 사찰에서나 원불願佛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그냥 석가모니불만 조성하는 사찰도 있지만 대개의 경우 석가모니불,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등을 조성하지요. 그런데 원불을 모실 때 개개인마다 …
일행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