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읽는 성철 스님]
수행의 발자취- 해인사 퇴설당
페이지 정보
편집부 / 2015 년 1 월 [통권 제21호] / / 작성일20-07-30 15:00 / 조회8,803회 / 댓글0건본문
대원사에서 용맹정진하던 성철 스님은 해인사로 ‘발탁’되었습니다. 그래서 해인사로 갑니다. 해인사에서 성철 스님은 스승인 동산 스님을 만나 수행자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그 후 제방의 선지식들을 친견하고 또 파계사 성전암에서 동구불출(洞口不出) 정진 등을 한 뒤 해인사에 총림(叢林)이 만들어지자 초대 방장으로 추대되었습니다.
방장으로서 스님은 ‘백일법문’을 비롯한 수많은 가르침을 전합니다. 그런 가운데 해인사는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사찰이 되었고, 지금도 수많은 납자(衲子)들이 공부하는 도량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종정으로 계실 당시 성철 스님이 머물렀던 퇴설당에도 잔잔하게 눈이 내려앉았습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구루 린뽀체의 오도처 파르삥의 동굴
카트만두 분지의 젖줄인 바그마띠(Bagmati)강 상류에 위치한 파르삥 마을은 예부터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진 곳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수많은 수행자들이 둥지를 틀고 수행삼매에 들었던 곳이다. 그러니만…
김규현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집중한다는 것과 업장소멸
질문1. 집중하는 힘에 대해 절과 능엄주를 일과로 시작한 지 어느덧 2년이 넘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익숙하지 않은 것이라 실수하지 않으려고 집중해서인지 잡념이 별로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일행스님 /
-
불교전파와 바다 상인들의 힘
기원전 1500~기원전 1000년경 쓰인 힌두교와 브라만교의 경전 『리그베다(Rig-Veda)』는 숭앙하는 신을 비롯해 당시 사회상, 천지창조, 철학, 전쟁, 풍속, 의학 등을 두루 다룬다. 베다에…
주강현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