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탁소리]
상당법어(上堂法語)를 들으려면
페이지 정보
원택스님 / 2013 년 7 월 [통권 제3호] / / 작성일20-05-22 08:32 / 조회9,347회 / 댓글0건본문
1972년 1월 중순경에 백련암으로 출가하여 영자전에서 동지섣달 추운 겨울에 일주일 동안 삼천배 기도를 마친 후 삭발하게 되니 그날이 동짓달 보름이었습니다.
그 후 그믐에 난생처음 해인사 대웅전에서 결제 후 보름마다 있는 성철 큰스님 상당법문을 듣게 되었습니다. 암자의 행자 신분으로 큰 법당에 들어가니 산중 비구, 비구니 스님들과 신도님들이 자리를 가득 메우고 있는 모습에 우선 기가 질렸지만 겨우 말석의 행자 자리를 찾아 엎드렸습니다. 방장 큰스님을 법상에 모시는 장엄한 예불이 10여 분 계속되고 마침내 큰스님께서 법상에 좌정하시고 예를 받으신 뒤 설법이 시작되었습니다. 법문은 대중을 깨우쳐주시는 상당법어(上堂法語)가 아니라 『육조단경』에 관한 내용으로 60여 분 동안 계속되었습니다.
저녁 예불을 마치고 난 후 큰스님께서 저를 보시고는 “이놈 행자야, 오늘 뭐 좀 알겠드나?” 하시어 “예! 꼭 저를 위해 법문해 주시는 듯 했심더” 하니, “이놈 봐라, 뭐 내가 할 일 없어 니깐 놈을 위해 법문 했겠나? 대중을 위해서 했제. 그놈 참 건방지네!” 하셨던 기억입니다. 그 후 『육조단경』 강의가 끝났는지 다음 철부터는 상당법어 때마다 옛 조사스님들의 예화를 들고 여러 가지 스님들의 평을 덧붙여 큰스님께서 또 평을 하시는 법문을 하셨는데, 전혀 이해가 되지를 않았습니다. 상당법문을 끝내시고 백련암으로 올라오신 후 “행자야! 오늘 내 말 알겠드나?” 하시니 “캄캄해서 아무 말도 못 알아들었습니다.” 하고 여쭈면 “그럼 그렇지! 니깐 놈이 뭘 알아들으려고!” 하시며 혀를 끌끌 차시고는 휑 돌아 당신 방으로 드셨습니다.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상당법문은 큰스님께서 열반에 드실 때까지도 알아듣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큰스님의 상당법문을 모아서 『본지풍광』을 펴냈습니다. 큰스님의 말씀입니다.
“내가 상당법문을 하면 흔히 ‘우리가 도저히 알아들을 수 없는 그런 말씀만 자주 하지 마시고, 저희들을 불쌍히 여겨 알아들을 수 있는 법문을 해 주십시오.’ 하는 요청들을 많이 합니다. 그러나 나는 늘 맑은 하늘에 태양이 환히 비치는 것처럼 누구나 알 수 있고 누구나 볼 수 있고 누구나 들을 수 있는 그런 법문을 했지 알아들을 수 없는 법문은 조금도 한 일이 없습니다. 만일 내 법문을 알아듣지 못했다면 그 사람의 귀가 어둡고 눈이 어두운 것입니다.
귀 어두운 사람이 어떻게 해서든 귓병을 치유해 귀를 뚫을 작정은 하지 않고, 눈 어두운 사람이 무슨 수를 써서든 눈을 떠 물건을 바로 보도록 스스로 노력은 하지 않고, 귀 어두운 사람이 ‘내 귀에 들리게 해 달라’ 하고, 눈 어두운 사람이 ‘내 눈에 보이게 해 달라’며 자꾸 보채기만 하니 참으로 딱한 일입니다. 예전 큰스님들이 늘 하신 말씀이 있습니다. ‘나는 우리 스님의 도와 덕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 아니다. 다만 나를 위해서 해석해 주지 않은 것을 소중히 여긴다.’ 왜냐하면 화두를 해석하면 그 해석에 떨어져 영원히 깨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공안을 해석해서는 영원히 깨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자기 귀로 듣고 자기 눈으로 볼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하기 위해 화두공부만 열심히 시킬 뿐이지 해설은 하지 않습니다. 어떤 사람이 무슨 청을 하더라도 해설은 절대로 하지 않습니다.
법문을 확실히 알려면 눈 감고 귀 막고서는 안 됩니다. 눈을 번쩍 뜨고 귀를 활짝 열어 보고 들을 것 같으면 실지로 이 시방세계 그대로가 광명천지며 시방세계 이대로가 무진법문 아님이 없습니다. 그런데 왜 눈을 감고 귀를 막고 앉아서 들리지 않는다고 보이지 않는다고 한탄만 하느냐 말입니다.
그렇지만 내가 이런 법문을 하는 귀착점은 어디인가?
모든 중생 개개인 누구나 영원한 생명 속에 무한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누구든 영원한 생명 속에 무한한 능력을 가진 이것을 개척한다면 부처도 될 수 있고 조사도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참으로 시방세계를 내 집같이 돌아다니며 일체중생을 위해서 영원히 살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본래 가지고 있는 영원한 생명 속에 무한한 능력을 하루빨리 개발하려면 어떠한 방법을 써야 하는가? 화두를 자나 깨나 잊지 말고 부지런히 참구해서 화두를 바로 깨쳐야만 합니다. 그러니 우리는 어디로 회향해야 하는가? 화두를 부지런히 참구해서 바로 깨치는 여기로 모두 회향해서 영원한 생명 속에 무한한 능력을 하루빨리 개발합시다.”
일본의 유명한 선학자 야나기다 세이잔 교수는 간화선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인도 이래의 선의 공부는 여기에 이르기 위한 기나긴 모색의 과정이었다고 말해도 좋다. 선의 본질을 이루는 의식집중의 훈련은 화두에 대한 큰 의심의 응결과 그 타파라고 하는 간명직절한 두 단계로 통일되는 것이다. 그것은 북종적인 간심간정(看心看淨)과 남종적인 견성주의(見性主義)의 멋진 조화라고 볼 수도 있으며, 더욱 소급해 올라간다면 소승적인 번뇌대치(煩腦對治)의 수정(修定)과 대승적인 반야공관(般若空觀)의 비할 바 없는 통일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성철 큰스님을 가르침을 생각하며 우리 모두 간화선 공안 타파에 매진합시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인도 현대 인도불교의 부활과 과제들
심재관(상지대 교수) 많은 한국의 불교인들은 “어찌하여 불교의 탄생지인 인도에서 불교가 이토록 처참히 위축되었는가?”를 질문한다. 그리고 이 질문에 식자들은, 이슬람의 인도 정복이나 힌두교…
고경 필자 /
-
구루 린뽀체의 오도처 파르삥의 동굴
카트만두 분지의 젖줄인 바그마띠(Bagmati)강 상류에 위치한 파르삥 마을은 예부터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진 곳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수많은 수행자들이 둥지를 틀고 수행삼매에 들었던 곳이다. 그러니만…
김규현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님의 침묵』 탈고 100주년, ‘유심’과 ‘님의 침묵’ 사이
서정주의 시에 깃들어 있는 불교가 ‘신라’라는 장소를 바탕으로 하는 불교, 『삼국유사』의 설화적 세계를 상상의 기반으로 삼는 불교라면, 한용운의 시에 담긴 불교는 ‘형이상학’이나 ‘초월’ 혹은 ‘공…
김춘식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