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반야]
삿된 것을 타파하고 바른 것을 드러낸다
페이지 정보
담계 이주용 / 2021 년 2 월 [통권 제94호] / / 작성일21-02-05 10:10 / 조회6,712회 / 댓글0건본문
파사현정破邪顯正은 ‘삿된 것을 타파하고 바른 것을 드러낸다.’는 의미입니다. 파사현정은 인도의 용수 보살(150-250)이 강조한 불교 실천수행의 요체이자 삼론종의 기본교의로 “세상은 원래 바른 것이지만 삿된 행위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데, 부처님 가르침에 어긋나는 삿된 것을 없애면[破邪] 본래 모습(진리)과 올바름이 드러난다[顯正].”는 것입니다. ‘삿된 것[邪]’이란 ‘사악한 것’일 수도 있고 ‘자기만 옳고 잘났다는 생각’일 수도 있습니다.
매년 말 ‘그 해의 사자성어’를 발표하는 교수신문이 3년 전에 선정했던 것이 ‘파사현정’이었습니다. 지난 해 말 교수신문이 선정한 사자성어는 ‘아시타비我是他非’였습니다. 최근 몇 년간 우리 사회에 만연했던 소위 ‘내로남불’을 성어成語로 만든 것으로 ‘나와 내 편만 옳고 상대방은 무조건 나쁘다’는 태도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아시타비의 아집’에서 벗어나 파사현정破邪顯正이 이뤄져 정의가 바로 서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구루 린뽀체의 오도처 파르삥의 동굴
카트만두 분지의 젖줄인 바그마띠(Bagmati)강 상류에 위치한 파르삥 마을은 예부터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진 곳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수많은 수행자들이 둥지를 틀고 수행삼매에 들었던 곳이다. 그러니만…
김규현 /
-
인도 현대 인도불교의 부활과 과제들
심재관(상지대 교수) 많은 한국의 불교인들은 “어찌하여 불교의 탄생지인 인도에서 불교가 이토록 처참히 위축되었는가?”를 질문한다. 그리고 이 질문에 식자들은, 이슬람의 인도 정복이나 힌두교…
고경 필자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집중한다는 것과 업장소멸
질문1. 집중하는 힘에 대해 절과 능엄주를 일과로 시작한 지 어느덧 2년이 넘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익숙하지 않은 것이라 실수하지 않으려고 집중해서인지 잡념이 별로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일행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