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련마당]
성철스님의 육성법문 『선문정로』 강설 방송
페이지 정보
편집부 / 2025 년 3 월 [통권 제143호] / / 작성일25-03-08 21:44 / 조회246회 / 댓글0건본문
성철스님의 대표적인 저술인 『선문정로禪門正路』와 『본지풍광本地風光』이 오늘 3월부터 불교TV(BTN)를 통해 성철스님의 육성법문으로 방송됩니다.
부처님께 밥값 한 법문, 육성으로 방송
성철스님은 『선문정로』와 『본지풍광』을 출간하시고 “부처님께 밥값 했다.”고 스스로 자평하신 바 있습니다. 이 두 권의 책은 깨달음으로 가는 선의 바른길을 밝힌 역작이라는 평가였습니다. 모두 19장으로 구성된 『선문정로』의 요지는 돈오돈수頓悟頓修야말로 간화선 수행의 바른길이며, 선종의 정맥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당시까지 한국불교의 중심적 수증론으로 자리 잡고 있던 보조국사 지눌스님의 돈오점수頓悟漸修 사상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선문정로』의 이런 내용은 한국 불교학계에 치열한 돈점논쟁을 촉발할 만큼 불교계에 끼친 영향력이 지대했습니다.
1981년 『선문정로』가 처음 출간되었을 당시 대중들의 반응은 일반 불자들에게는 너무 어렵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성철스님께서는 1983년 도서출판 장경각에서 펴낸 『선문정로』를 교재로 해인사 대적광전에서 『선문정로』를 쉽게 풀이하는 강설 법회를 여셨습니다. 『백일법문』이 성철스님의 육성법문을 원택스님께서 녹취로 풀어 출간한 것이라면 『선문정로』는 책이 먼저 나오고, 그 책을 교재로 강설 법회를 하신 것입니다.
그러나 당시 강설법회를 녹음한 오디오는 완성된 콘텐츠로 유통되지 못했습니다. 이미 책이 나와 있었고, 녹음 상태도 고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다만 녹음된 오디오가 일부 유튜브에 공개되어 있는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연화도에서 수행하고 계신 이영호 거사님께서 성철스님의 『선문정로』 녹음을 듣고는 『백일법문』 방송처럼 자막을 넣어 영상물로 제작해 주면 좋겠다는 제안을 해주셨습니다.
저간의 사정을 보고 받은 원택스님(백련불교문화재단 이사장)께서는 큰스님의 육성을 통해 『선문정로』를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이 있다면 『백일법문』처럼 방송물로 제작해 더 많은 분들이 접할 수 있도록 검토하라고 하셨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불교TV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최원섭 박사가 육성 녹음을 풀어 방송용 자막으로 만들었습니다.
총 64회에 걸쳐 매주 45분씩 방송
『선문정로』 강설 녹음은 총 21시간 분량이며, 『본지풍광』은 27시간 분량으로 모두 48시간에 달하는 분량입니다. BTN에서는 매주 45분짜리 프로그램으로 편성하여 총 64주에 걸쳐 방송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소요되는 제작비는 이영호 거사님께서 법보시 하기로 신심을 내어, 많은 분들이 성철스님의 육성을 통해 『선문정로』와 『본지풍광』을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만들어졌습니다.
2025년 3월 12일(수)부터 방송되는 『선문정로』와 『본지풍광』 강설은 불교TV(BTN)를 통해 매주 수요일 오후 2시에 본방송이 송출되며, 두 차례(금요일 오후 8시 30분과 토요일 오후 10시 30분)에 각각 재방송될 예정입니다. 이영호 거사님의 뜻깊은 법보시로 큰스님의 육성법문을 함께 공부할 기회가 만들어졌습니다. 많은 분들의 시청을 기대합니다.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구루 린뽀체의 오도처 파르삥의 동굴
카트만두 분지의 젖줄인 바그마띠(Bagmati)강 상류에 위치한 파르삥 마을은 예부터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진 곳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수많은 수행자들이 둥지를 틀고 수행삼매에 들었던 곳이다. 그러니만…
김규현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인도 현대 인도불교의 부활과 과제들
심재관(상지대 교수) 많은 한국의 불교인들은 “어찌하여 불교의 탄생지인 인도에서 불교가 이토록 처참히 위축되었는가?”를 질문한다. 그리고 이 질문에 식자들은, 이슬람의 인도 정복이나 힌두교…
고경 필자 /
-
집중한다는 것과 업장소멸
질문1. 집중하는 힘에 대해 절과 능엄주를 일과로 시작한 지 어느덧 2년이 넘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익숙하지 않은 것이라 실수하지 않으려고 집중해서인지 잡념이 별로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일행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