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禪에 관한 이런 저런 이야기]
경봉의 ‘병신’
페이지 정보
장웅연 / 2018 년 6 월 [통권 제62호] / / 작성일20-05-22 08:32 / 조회6,608회 / 댓글0건본문
기자로 밥벌이를 하는 놈이
글 한 줄을 못 쓰게 되었을 때,
사막이 된 머리 위로 까마귀가 날고
앞에서 펄럭이는 검은 만장은
수금(收金)하러 오는 사람 같았다.
“이리로 와라 이리로 와라…
별 수 없다,
이것뿐이다.”
세상이 세월호 때문에 울던 시절이었다.
미안하다.
나는 나 때문에 울었다.
모든 걸 내 탓으로 돌리고
모든 지인이 무서웠던
그 출구 없는 자학 속에서,
‘그 새끼 목을 따버리겠다’던
며칠 전의 악심(惡心)이
어찌나 기득하고 그리웠던지.
프로작(prozac)이 빛나던 오후였다.
차도(差度)가 오고
이것만 넘어가면 될 것 같은데
안 넘어가고,
초여름 햇살이 바닥에 엎질러진
벌꿀처럼 무너져 내렸다.
아파트 아래선 고물 사러 다니는 트럭이
자기 전화번호를 스피커로 떠들어댔다.
휴대폰으로 ‘우울증’을 하루에 40번쯤 검색했다.
질소가스를 파는 곳은 영등포 한 군데였고
걸을 수 없는 몸으로는 너무 멀었다.
108염주로는 목이 안 메어졌다.
나의 부처님은 무능했다.
제발 살려달라며, 낫게 해달라며
108배를 하고 기체조를 하고
별 개지랄을 다 떨었다.
휴대폰 충전기 줄로는
죽을 수 없고
노트북 전기 줄로
죽을 수 없다는 걸
그때 알았다.
번번이 끊어지던 저승과의 교신,
엄밀히 말하면 구조요청이었다고 본다.
결국 가방 끈으로는 성공했는데
아내가 봤다.
그렇게 절반의 죽음을 수십 날 반복했다.
프로작이 빛나던,
프로작만 살아있던 오후였다.
제정신이 돌아온 지금에 와
돌이켜보면,
투덜대기도 하고 누굴 욕할 수 있다는 게
글도 쓰고 잔머리도 굴릴 수 있다는 게
얼마나 다행한 일인지 모른다.
또한
그 소중한 기력으로
굳세게 버티거나
그냥 꾹 참고 넘어가기도
하는 것이다.
적들은 여전히 살아 있고,
고마운 제정신을 지키고 싶어서.
“일상에서 보고 듣고 밥 먹고 하는 게
그대로 진리”라던 마조(馬祖)여,
당신이 옳았다.
제정신이 곧 불성(佛性)이었다.
이걸 알자고, 참 멀리도 갔었다.
—
일류대 다니던 대학생들이 경남 양산에 있는 통도사 극락암으로 여름 수련회를 갔다.
= 옛날엔 고시공부를 하러 절에 많이들 갔다.
조실(祖室)이었던 경봉정석(鏡峰靖錫, 1892-1982)의 지도 아래 참선을 체험했다. 처음 해보는 가부좌에 다들 애를 먹었다.
= 고시공부도 힘들지만 마음공부도 힘들다.
“스님, 이거 잘 안 되는데요. 그냥 책상다리만 하면 안 되겠습니까?”
= 그래서 고시공부만 하고 싶구나.
경봉이 말했다. “그래, 병신은 안 되지.”
= 잘 먹고 잘 살고 싶다면, 나가서 해라.
내가 본 책 속의 선사(禪師)들은 징징대는 걸 몹시 싫어한다. 말들은 하나같이 짧았고 죽을 때가 되면 그냥 죽어버렸다. 그게 너무 부럽다. 엄살은 어디에서 오는가. 간단하다. 이기심 때문이다.
내 몸을 아끼는 마음에 힘든 일도 하기 싫고, 내 몸 편하자고 책임을 남에게 미루는 것이다. 불쾌하고 답답하지만 그게 사바세계다. 마음이 몸에 묶여 있는 한, 생명은 일정하게 사악하고 치졸할 수밖에 없다. 우리가 거룩하고 소중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생명의 진정한 본질이다.
우리가 삶을 선택하지 않았듯, 생존을 향한 본능은 이미 태초부터 정해진 프로그램. 내 삶의 주인은, 미안하지만 내가 아니라 삶이다. 먹고살아야 하니까 욕을 먹고, 일단 살고는 봐야하겠으니까 머지않아 적폐가 되는 것이다.
각자의 몸에 종속된 마음은 각자의 몸을 위해 머리를 굴린다. 내 몸이 처먹을 몫이 커진다면 눈을 까뒤집고, 내 몸이 올라갈 수 있다면 벼랑에서 뛰어보기도 한다. 물론 마음에게 몸을 다치게 하는 것만큼 큰 죄는 없다.
가부좌는 하기 싫고 책상다리를 하는 선에서 적절히 타협을 본다. ‘병신’임을 자인하기는 창피하니까 으레 ‘전략적 후퇴’나 ‘일상의 작은 지혜’라고 표현한다. 병신이 한 명 더 있으면 ‘화합’이라고 쓴다.
선(禪, dhya-na)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고요한 마음’이겠다. 무심(無心)이라 해도 좋고 청정심(淸淨心)이라 해도 좋다. 마음을 텅 비우거나 사심을 버리면 도인이 되는 줄 알았다.
그러나 나에 대한 험담 한마디면 그 자리에서 무너지는 것이 무심이요, 30만원 받을 일에 20만원만 받으면 당장에 입이 더러워지는 게 청정심이었다. 요즈음엔 ‘내가 병신이 될 수도 있구나!’ 인정하는 마음과 ‘병신이 되어도 괜찮다.’ 포용하는 마음을 원한다.
●
내일이 오늘을 삼킨다.
여빙귀수(如氷歸水).
저작권자(©) 월간 고경.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많이 본 뉴스
-
부설거사 사부시 강설
성철스님의 미공개 법문 4 부설거사浮雪居士 사부시四浮詩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모두 다 잘 아는 것 아니야? 지금까지 만날 이론만, 밥 얘기만 해 놓았으니 곤란하다 …
성철스님 /
-
구루 린뽀체의 오도처 파르삥의 동굴
카트만두 분지의 젖줄인 바그마띠(Bagmati)강 상류에 위치한 파르삥 마을은 예부터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진 곳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수많은 수행자들이 둥지를 틀고 수행삼매에 들었던 곳이다. 그러니만…
김규현 /
-
봄빛 담은 망경산사의 사찰음식
사막에 서 있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두렵고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한 생각 달리해서 보면 사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무한한 갈래 길에서 선택은 자신의 몫입니다. 누군가가…
박성희 /
-
인도 현대 인도불교의 부활과 과제들
심재관(상지대 교수) 많은 한국의 불교인들은 “어찌하여 불교의 탄생지인 인도에서 불교가 이토록 처참히 위축되었는가?”를 질문한다. 그리고 이 질문에 식자들은, 이슬람의 인도 정복이나 힌두교…
고경 필자 /
-
집중한다는 것과 업장소멸
질문1. 집중하는 힘에 대해 절과 능엄주를 일과로 시작한 지 어느덧 2년이 넘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익숙하지 않은 것이라 실수하지 않으려고 집중해서인지 잡념이 별로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일행스님 /
※ 로그인 하시면 추천과 댓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