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론 > 장경각 도서 목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장경각 도서목록

장경각 도서 목록


본문

조론

저자·역자 승조스님 저/조병활 역주 출간일2023년 04월 21일
책정보페이지: 350쪽판형: ISBN:979-11-91868-42-5 (03220)
구매하기
책소개
『조론』은 후진시대의 승조僧肇(384~414) 스님이 반야·중관사상의 요체를 설명하고자 지은 책이다. 이 책은 「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 「부진공론不眞空論」, 「물불천론物不遷論」, 「열반무명론涅槃無名論」과 동진의 「유유민 거사의 질문 편지」와 이에 대한 답변인 「승조스님의 답변 편지」 등을 하나로 묶어 편찬한 책이다.
승조스님의 이름인 ‘조肇’자와 이치를 논의한 글이라는 의미의 ‘논論’자를 결합해 책 이름을 『조론』이라고 붙였다. 1061년 찬술된 『조론집해령모초肇論集解令模鈔』에 따르면 “당나라부터 북송 때까지 출간된 『조론』 주석서는 20여 종이나 됐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조론』은 중국불교에서 주목받는 저서로 불교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은 거쳐 가야 하는 산과 같았다.
1. 『조론오가해』는 진나라의 혜달스님에서 시작하여 명나라의 감산덕청스님까지 무려 1천 년에 걸쳐 등장한 무수한 논소 중에서 각 시대를 대표할만한 다섯 편의 탁월한 논소를 선별하여 ‘오가해五家解’라는 이름을 붙였다. 특히 이번에 출간된 『조론오가해』는 감산스님의 『조론략주』를 제외한 나머지는 주석서들은 일어나 영어 심지어 현대 중국어로도 번역된 바가 없는 최초의 번역으로 공사상과 중관사상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학술적 초석이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 『조론오가해』의 특징은 ‘현존하는 각 권들의 판본들을 비교·교감하여 내용을 바로잡았고, 한문 원문에도 표점을 모두 찍은 뒤 이를 토대로 역주譯注했다는 점이다. 나아가 각 주석서들이 탄생하게 된 그 시대의 불교적·정치적·문화적 배경을 알 수 있도록 상세한 「해제」를 각 권의 앞부분에 붙여 놓은 것도 『조론』을 공부하는 데 유용한 지침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나아가 설명이 필요한 대목에서는 상세한 각주를 달았으며, 본문과 주석서에 등장하는 내內·외전外典의 인용문들의 출처와 근거를 밝혀 입체적으로 『조론』을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중국불교사상사에서 승조의 위상과 『조론』의 영향
『조론』을 집필한 승조스님은 중국불교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구마라집 스님은 승조스님이 지은 「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을 읽어보고 “불교경전에 대한 이해와 해설은 내가 그대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지만 그것을 글로 표현하는 데 있어서는 내가 자네 보다 못하다.”며 승조스님을 칭찬하고 “공사상을 제일 잘 이해한 사람은 승조”라고 높이 평가했다.
이처럼 승조스님은 구마라집의 반야·중관사상을 계승하여 『조론』을 집필하고 이를 통해 삼론종三論宗이 개창될 수 있도록 사상적 길을 열었다. 나아가 인도사상과 중국사상의 교류 및 범어와 중국어의 회통에 새로운 모범을 개척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특히 『조론』은 중국불교사상사에서도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실재론적인 노장철학의 무無·유有 개념으로 유학을 새롭게 해석하며 형이상학적인 논의를 진행하던 위진현학의 물줄기를 성공性空을 통해 공空·유有를 탐구하는 수당불학隋唐佛學으로 돌리는 역할을 했다.
『조론』은 또한 후대 중국불교와 중국사상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위진남북조, 당나라, 송나라, 원나라, 명나라 등 매시기마다 『조론』을 주석한 책들이 나온 데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중국의 불교학과 철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가 『조론』이며, 고대와 중세 중국사상을 정확히 해독하기 위해서는 『조론』 독해가 필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런 이유로 우익지욱藕益智旭 스님은 각종 경전과 논서들을 열람하고 지은 『열장지진閱藏知津』에서 “중국에서 찬술된 저서 가운데 승조스님, 남악혜사 스님, 천태지의 스님 등의 것이 유일하게 순일하고 순일하다. 진실로 인도의 마명 논사, 용수 논사, 무착 논사, 세친 논사 등의 저술에 비해도 부끄럽지 않다.”며 승조스님을 인도의 마명과 용수 논사와 어깨를 견주는 위대한 사상가로 평가하고 있다.

저자소개
(교감校勘·표점標點·역주자譯注者) 조병활趙炳活
* 북경대학 철학과에서 북송北宋 선학禪學사상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취득.
* 중국 중앙민족대학 티베트학연구원에서 티베트불교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
* 『불교미술기행』(이가서. 2005), 『다르마로드』(상·하. 랜덤하우스중앙(주). 2005) 등의 저서와 「『바세』 5종 필사본에 보이는 ‘김 화상 기록’ 비교 연구」, 「「조론서」 연구」, 「「물불천론」 연구」 등 우리말·중국어·티베트어로 쓴 다수의 논문이 있다.

목차
추천의 글/ 축하의 글

1. 시작의 글
중국불교와 『조론』

2. 역주의 글
조론서
종본의
물불천론
부진공론
반야무지론
열반무명론
참고문헌

3. 마무리 글
공사상, 현학 그리고 『조론』

찾아보기
역자후기
시작의 글

중국불교와 『조론』

1. 불교의 중국전래
2. 역경사譯經師와 한문불전漢文佛典의 등장
3. 신이사神異師와 비한족계非漢族系 군주
4. 구법사求法師와 위법망구爲法忘軀
5. 번역과 동아시아 불교의 탄생
6. 『조론』은 어떤 책인가
7. 구마라집 스님은 누구인가
8. 승조 스님은 어떤 사람인가
9. 승조 스님은 정말 사형을 당했을까
10. 『조론』을 무엇 때문에 썼을까
11. 『조론』의 여러 주석서들
12. 『조론』이 우리나라 불교에 끼친 영향
13. 『조론』 읽기·연구의 부수적인 효과

책속으로
1. 불교의 중국전래

전한(前漢, BCE 206-CE 8) 말 후한(後漢, 25-220) 초 중국에 전래된 불교는 황노黃老사상과 비슷한 방술方術·도술道術의 하나로, 부처님은 황제黃帝·노자老子처럼 신선神仙 가운데 한 명으로 이해됐다. 어느 정도 세월이 지난 뒤 중국인들은 부처님이 중국의 신선과 비슷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알았고, 전래된 이후 250-350년 정도의 학습·수행을 거쳐 중국인들 스스로 불교 교의敎義를 연구·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됐다. 이런 저런 과정을 거치며 불교는 서서히 중국인의 습속習俗과 부합되는 방향으로 변해갔다. 즉 중국적인 것으로 변용變容되기 시작했다. 적응適應의 조류潮流가 흐르는 동안 불교와 함께 인도·서역에서 전래된 언어·사유체계·음식·미술·무용 등도 중국인의 풍속에 내재화內在化되고 있었다. 잦아진 접촉과 상호간에 주고받은 영향으로 ‘외래문화’였던 불교는 빼놓을 수 없는 ‘중국문화’의 한 부분이 되었다. 중국의 피와 살로 전화轉化된 것이다.
발전·변화하는 도중途中에 인도불교의 사상·학설들이 끊임없이 들어와 중국불교에 영향을 주었고, 전래된 학설들을 연구하며 형성된 학설·학파는 천태종·화엄종·선종 등 종파불교 탄생의 밑거름이 됐다. 변용을 통해 모습을 드러낸 중국불교는 중국사상의 한 부분이지만 중국의 전통사상 및 인도불교와 다르고, 중국불교의 구성요소이자 인도불학佛學을 흡수하며 형성된 중국불학은 다른 나라의 그것과 차이 나는 독자적인 풍취風趣를 갖게 됐다. 그래서 “동아시아 역사에서 가장 큰 연구 주제의 하나는 불교가 만들어 낸 중국문화의 변용이다. 거의 2000년 정도의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며 한 문화가 변용되어 가는 과정을 추적할 수 있으며, 중국인의 삶이나 사상의 모든 측면에서 불교의 영향을 발견할 수 있다.”는 미국의 중국불교 연구가 아서 라이트(Arthur F. Wright, 1913-1976)의 지적은 틀림이 없다. 200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는 중국불교 발전의 동력은 무엇일까?


2. 역경사와 한문불전의 등장

불교의 중국적 변용에 무엇보다 큰 힘이 된 것은 ‘불교의 성서聖書’를 고전 중국어로 번역한 역경譯經이다. 역경이 없었다면 중국불교는 지금과 훨씬 다른 모습이 되었을 것이다. 어쩌면 방대한 학문적 업적과 뛰어난 불교문화를 자랑하는 오늘날의 중국불교가 태어나지 못했을 지도 모른다. 역경은 그 만큼 중요하다. 하나의 외래문화가 다른 지역에 전파되어 뿌리내릴 때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것은 현지인들을 흡수吸收·전화轉化시키는 일이다. 이를 위해 가르침을 담은 교전敎典을 현지의 말과 글로 옮기는 것이 시급하고 필수적이다. 번역하기 위해선 불경의 언어, 즉 기점언어source language인 산스크리트어[梵語]와 목표언어target language인 고전 중국어[漢文]를 알아야 한다.
상황은 녹록치 않았다. 중국에 온 외국인 역경사[譯經師, 경전을 번역하거나 번역할 수 있는 스님]들 가운데 극히 일부만이 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었고, 4세기 후반 이전에 산스크리트어를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중국인은 거의 없었다. 서진(西晉, 265-316)의 섭도진聶道眞 거사와 섭승원聶承遠 거사, 서진의 백원(帛遠, 대략 253-305) 스님 등이 외국에서 온 번역자의 조수로 약간의 언어적 훈련을 받았던 것으로 보이나 산스크리트어를 익숙하게 한 최초의 중국인은 4세기 후반의 역경사譯經師 축불염竺佛念 스님이다. 300년대 후반이 돼서야 비로소 산스크리트어를 제대로 이해한 중국인이 등장한 것이다. 이런 저런 다양한 역경逆境을 뚫고 역경사譯經師와 한인漢人 보조자들은 훌륭하고도 멋지게 불교 성경聖經들을 번역했다. 세계번역사世界飜譯史에 불멸의 금자탑金字塔을 세웠다고 말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이다.

머리말
- 『조론오가해肇論五家解』 출간을 축하하며 -

이치에 맞게 말을 하면 듣는 사람이 기꺼이 믿고, 이치에 맞게 행동하면 보는 사람들이 존경하고 따르며, 진리와 같이 하는 사람은 그 진리와 같아지고, 덕德에 종사하는 사람은 그 덕과 같아지는 법이다. 그러나 따라 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이치에 맞는 말과 행동보다 더 어려운 것은 없고, 같아지기 어려운 것으로 진리와 덕에 종사하는 것보다 더 힘든 것도 없다.
부처님이 말씀하신 크나큰 진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전해진 이래 무수한 현인들이 나타나 가르침을 풍부하게 하고 그 이치로 세상을 교화하고 메마른 대지를 윤택하게 했지만 그 가르침은 여전히 쉽게 잡히지 않고 귀에는 들리나 체득하기 어렵다. 진리와 이치가 훌륭하기는 하나 담백淡白하고 밋밋해 돌아보는 사람이 드물다. 뜻 높은 사람이 진리와 이치를 들으면 힘써 행하고 뜻이 중간 정도인 사람이 진리를 들으면 의심하고 뜻이 낮은 사람이 진리를 들으면 웃어버린다. 오직 뜻 높은 사람만이 담백함에 쌓인 제호醍醐의 맛을 음미吟味할 수 있다. 보물이 있는 곳에는 그것을 지키는 흉맹한 교룡蛟龍이 반드시 부근에 있다. 교룡을 제압하고 보배 그릇에 담긴 ‘감미로운 제호’를 맛보려면 ‘인연因緣이라는 복덕’과 ‘불퇴전不退轉의 정진精進’, ‘명석한 지혜’와 ‘원만한 방편方便’ 등을 갖춰야 된다. 위진남북조시대의 후진後秦에서 태어나 활동했던 승조 스님이 찬술한 ‘『조론』이라는 제호’를 음미하려해도 이 네 가지가 필요하다.
「물불천론」 「부진공론」 「반야무지론」 「열반무명론」 등 네 편에 담긴 제호의 맛은 다르면서 같고 같으면서 다르다. 동動과 정靜, 연기緣起와 공성空性, 비유非有와 비무非無, 가명假名과 중도中道, 속제俗諦와 진제眞諦, 반야般若와 열반涅槃, 본지本地와 수적垂迹, 자비慈悲와 지혜智慧 등 다양한 맛이 각각의 그릇에 가득하다. ‘이 글’을 읽으면 ‘저 글’이 떠오르고 ‘저 글’을 새기면 ‘이 글’이 되살아난다. ‘이 그릇의 음식’을 보면 ‘저 그릇의 음식’이 먹고 싶고 ‘저 그릇의 음식’을 먹으면 ‘이 그릇의 음식’이 뇌리에 스친다. 연리지連理枝처럼 결이 통하고 공명조共命鳥처럼 명命이 하나로 연결돼 있다. 하나의 이치에 통하면 넷에 통하고 넷의 현리玄理에 통하면 불교의 오의奧義가 오롯이 파악된다. 유려한 문장과 생생한 표현으로 묘사된 「반야무지론」을 읽은 양자강 남북의 은사隱士와 현인賢人들이 “일찍이 이런 글은 없었다.”며 환호했다.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화성化城’이 그 안에 있고 형상으로 그리지 못하는 ‘보소寶所’가 글 속에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세월이 흐르고 해가 쌓이면 이치는 전설이 되고 말과 글에는 먼지와 이끼가 겹겹이 쌓인다. ‘깨침의 바다’나 ‘지혜의 빛’은 언어로 묘사될 수 없으나 긴 잠에 빠져있는 중생을 깨워 제호의 냄새라도 맡게 하려면 말과 글에 의지해야 된다. 『조론』에 배어 있는 전설과 『조론』에 낀 이끼와 먼지를 걷어 내고자 적지 않은 현인들이 주석서를 쓴 것도 이 때문이다. 현존하는 여러 주석서 가운데 위진남북조시대 남조 진陳나라의 혜달惠達 스님이 지은 『조론소肇論疏』, 당나라의 원강元康 스님이 찬술한 『조론소肇論疏』, 북송의 비사秘思 스님이 강설講說하고 정원淨源 스님이 집해集解한 『조론중오집해肇論中吳集解』, 원나라의 문재文才 스님이 펴낸 『조론신소肇論新疏』, 명나라의 감산 스님이 기술記述한 『조론략주肇論略注』 등 다섯 권의 중요한 주석서가 『조론오가해肇論五家解』라는 이름으로 우리말로 번역되어 세상에 나왔다. 『조론략주』 이외의 네 권은 이번에 처음으로 옮겨졌다.
천리의 먼 길도 첫 걸음에서 여정旅程이 비롯되고 백층의 높은 건물도 첫 삽에서 건축이 시작된다. 『조론』이라는 보소寶所를 여는 ‘귀중한 열쇠’이자 불교의 오의처奧義處로 인도하는 ‘지남指南’과 같은 이 책들을 차근차근 읽다보면 언젠가는 먼지와 이끼가 걷혀지고 점차 진해져 오는 제호의 향기를 맡을 수 있을 것이다. 힘든 여건 속에서도 번역을 위해 노력한 조병활 박사의 노고를 치하하며 경향京鄕의 현자들이 이 책에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좋겠다.
내년은 마침 성철 대종사님의 열반 30주기가 된다. “우리 시대의 부처님”이신 성철 대종사님의 열반 30주기를 기념해 전6권의 『조론오가해』를 출간하게 된 것을 무엇보다 기쁘게 생각한다. 생전의 대종사께서는 『조론략주』를 읽으시곤 하셨는데 중국의 각 시대를 대표하는 다섯 종류의 『조론』 주석서들이 한꺼번에 번역·출간된 것을 보시면 무슨 말씀을 하실까? “이놈아! 참선이나 잘해라!”는 가르침을 내리실까? 대종사께서 강설講說하신 적이 있는 분양 선소汾陽善昭 선사의 게송을 소개하며 『조론오가해』 출간에 거듭 찬사를 표한다.

三玄三要事難分, 삼현삼요의 일 분별하기 어려우나
得意忘言道易親. 뜻을 얻고 말을 잊으면 어렵지 않게 진리에 계합된다.
一句明明該萬象, 한 구절에 모든 모습이 분명하게 들어 있으니
重陽九日菊花新. 중양절에 핀 국화꽃이 싱그럽구나.


가야산 해인사 백련암에서
불기佛紀 2566(2022)년 6월
벽해 원택碧海圓澤 화남和南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우) 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232호

전화 : 02-2198-5372, FAX : 050-5116-5374

이메일 : whitelotus100@daum.net

Copyright © 2020 도서출판 장경각.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