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책소개
성철스님이 가려 뽑은 한글 선어록 시리즈 4권. 정선(淨善)스님이 운거산에 갔다가 조안(祖安)스님에게 낡고 손실된 을 얻었다. 이후로 정선스님은 10여 년 간 여러 어록과 전기를 참고하여 50여 편을 추가로 모아 전체 300여 편으로 구성된 현재 상태의 으로 다시 편집하고 서문을 붙여 1182년 2권으로 간행하였다.저자소개
목차
개정판을 발간하면서… 005해제(解題)… 009
선림보훈(禪林寶訓) 서(序)… 018
선림보훈 상
01. 도보다 높고 덕보다 아름다운 것은 없다… 022
명교설숭(明敎契嵩)
02. 명예를 피하여 절개를 지키다… 028
원통거눌(圓通居訥)
03. 말세학인은 안위를 살펴야 한다… 032
대각회연(大覺懷璉)
04. 늙고 가난할수록 뜻을 굳게 가져야 한다… 037
효순노부(曉舜老夫)
05. 대중을 받드는 요점을 말하다… 041
법원녹공(法遠錄公)
06. 계행이 청정해야 명성을 얻는다… 048
오조법연(五祖法演)
07. 도는 사람을 떠나지 않으나 사람이 도를 버린다… 059
백운수단(白雲守端)
08. 활짝 트인 것이 도인의 마음 씀씀이다… 067
회당조심(晦堂調心)
09. 대중을 얻는 요점은 사람 마음을 살피는 데 있다… 075
황룡혜남(黃龍慧南)
10. 공안을 설명하는 어리석음을 경계하다… 083
홍영소무(洪英邵武)
11. 도인이 가니 총림이 시들다… 088
진정극문(眞淨克文)
12. 도덕 있는 사람은 대중과 같이 즐긴다… 094
담당문준(湛堂文準)
13. 화복과 길흉은 한 울타리 안에 있다… 102
영원유청(靈源惟淸)
14. 도는 믿음에 달려 있고 믿음은 진실에 달려 있다… 119
원오극근(悟克勤)
15. 납자의 본연은 어디에도 끄달리지 않는 것이다… 127
불감혜근(佛鑑慧懃)
16. 남에게는 엄격하고 자기에게 둔해짐을 경계하다… 134
불안청원(佛眼淸遠)
17. 늙고 병든 스님을 뒷바라지하다… 138
고암선오(高庵善悟)
18. 사대부에 아첨하여 불도를 손상시킴을 경계하다… 153
귀운여본(歸雲如本)
19. 『변영편』에 발문(跋文)을 붙이다… 159
원극언잠(圓極彦岑)
20. 상주물을 사사로이 씀을 경계하다… 161
동산혜공(東山慧空)
21. 혜공스님의 답서를 평하다… 164
절옹여염(浙翁女琰)
선림보훈 하
22. 출가한 뜻을 저버리지 않다… 16...(하략)
책속으로
도보다 높고 덕보다 아름다운 것은 없다명교설숭(明敎契嵩, 1007~1072)
1
도보다 높고 덕보다 아름다운 것은 없다. 도덕이 간직되었다면 보통 사람이라 해도 곤궁하지 않으며, 도덕이 없다면 천하에 왕 노릇을 한다 해도 되는 일이 없다.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는 절개를 지키느라 굶어 죽은 옛날 사람이지만 지금 사람들까지도 자기를 그에게 비교하여 주면 모두가 기뻐한다. 한편 걸(桀)?주(紂)??)는 옛날의 임금이었으나 지금도 사람들은 자기를 그에게 비교하면 모두가 화를 낸다. 그러므로 이 때문에 납자는 도덕이 자신에게 충만하지 못한 것을 근심할지언정, 세력과 지위가 없음을 근심하지 말아야 한다. 『심진집(津集)』
2
부처 되는 공부는 하루아침에 완전해지지 않는다. 낮으로 부족하면 밤까지 이어가며 오랜 세월이 지나야 자연스럽게 성취된다. 그 때문에 “배움으로써 뭇 이치를 모으고 질문으로 그것을 분별해야 한다.”고 하였으니, 이 말은 공부를 할 때 질문과 변론이 아니면 이치를 알아낼 수 없다는 뜻이다.
요즈음 납자들 중에는 어딜 가나 다른 사람에게 한마디 질문이나 변론을 꺼내는 사람이 드물다. 이들은 무엇으로 성품자리를 도와 날로 새로워지는 공부를 하려는지 모르겠다. 『구봉집(九峰集)』
머리말
『선림보훈(禪林寶訓)』은 송대(宋代) 선사들의 어록이나 전기에서 수행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어구와 기연(機緣) 등을 모은 글이다. 문헌에 따라 『선림보훈집(禪林寶訓集)』, 선문보훈(禪門寶訓)』 등 이라고도 한다.현재 남아 있는 서문에 따르면 원래는 우리에게 『서장(書狀)』으로 잘 알려진 임제종 양기파(楊岐派) 묘희대혜(妙喜大慧, 1089~1163)스님과 죽암사규(竹庵士珪, 1082~1146) 스님이 운거산(雲居山) 운문사(雲門寺)에서 토굴을 짓고 살면서 모은 것이었다. 하지만 당시에는 출판?유포되지 못하고 순희(淳熙) 연간(1173~1189)에 정선(淨善)스님이 운거산에 갔다가 조안(祖安)스님에게 낡고 손실된 『선림보훈』을얻었다. 이후로 정선스님은 10여 년 간 여러 어록과 전기를 참고하여 50여 편을 추가로 모아 전체 300여 편으로 구성된 현재 상태의 『선림보훈』으로 다시 편집하고 서문을 붙여 1182년 2권으로 간행하였다.
『선림보훈』에는 황룡혜남(黃龍慧南, 1002~1069) 스님부터 불조졸암(佛照拙庵, 1121~1203)까지 150여 년의 세월동안 송대에 활약한 임제종 선사들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선림보훈』 서문에도 밝히듯이 총림의 도덕이 쇠퇴해가는 현실을 염려하여 옛 스님들의 말씀이나 수행을 수립하여 납자들의 귀감이 되게 하고자 한 것이었다.
『선림보훈』의 두드러진 특징은 각 편마다 출처를 밝혀놓은 점이다. 이런 방식은 이후 『인천보감(人天寶鑑)』(1230년) 등에서도 보이는데, 『종문무고(宗門武庫)』, 『총림성사(叢林盛事)』, 『고애만록(枯崖漫錄)』등 여러 스님들의 단편적인 이야기를 담는 송대 주요 문헌들의 흐름에서도 독특한 특징이다.
거사와 주고받은 서한으로 유명한 대혜스님이 편집을 시작하였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선림보훈』에는 송대 선사들이 거사들과 얼마나 많은 교유가 있었는지를 알려주는 내용이 상당하다. 지역 군수는 물론 왕안석(王安石)이나 장상영(張商英) 등과 같은 정치인부터 황정견(黃庭堅) 등의 문인까지 여러 거사가 등장한다. 또한 유가의 문헌을 빈번하게 인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송대의 유교와 불교와 영향을 주고받는 모습
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선림보훈』에는 주지살이와 관련한 스님들의 법문이 많은부분을 차지한다. 교단 내적으로 선종 사원의 구색을 갖춘 송대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선림보훈』은 명대 이후로 대장경에 편입되어 여러 선종 문헌 ...(하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