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수행이란 무엇인가? - 이해수행과 마음수행
붓다의 길에서 이루어지는 ‘이해 깨달음과 마음 깨달음을 통한 향상의 여정’은 ‘깨달음이라 할 수 있는 영역 범주로의 진입’과 ‘마지막 경계선을 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마지막 경계선을 넘기 이전까지는, 누구나 언제든지 변화되기 이전의 상태로 퇴행할 수 있다. 이해수행으로 수립한 ‘사실 그대로에 상응하는 이해’와 마음수행으로 체득한 ‘붙들지 않는 마음자리’는, 모두 깨달음 영역 범주로의 진입이 선행되고 이후 마지막 경계선을 넘어섬으로써 완결된다. 따라서 깨달음 영역 범주에 진입한 이후로는, 마지막 경계선으로 나아가는 ‘익힘의 행보’가 필요하다. 돈오견성의 경우, ‘돈오견성 영역 범주 진입 이후 마지막 경계선 문턱’까지의 범위에 해당하는 돈오견성은 ‘미완결형 돈오견성’이다.
그러나, 퇴행을 부추기는 환경적 조건과 맞물려 이 ‘익힘의 노력’을 스스로 포기하거나 약화시킬 때는, 누구나 언제든지 진입한 ‘돈오견성 영역 범주’ 이전으로 퇴행할 수 있다. 또한 언제든지 노력에 따라 재진입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마지막 경계선을 넘어서면 더 이상의 퇴행은 없다. 이해수행으로 수립한 ‘사실 그대로에 상응하는 이해’와 마음수행으로 체득한 ‘붙들지 않는 마음자리’의 결합 및 상호작용 수준이 정점에 이를 때, 이 마지막 경계선을 넘어선다. 깨달음의 완결적 이룸이다. 붓다가 된다. 이 책은 언어인간이 재인지사유를 통해 어디에도 붙들리지 않는 완결형 돈오견성에 이르는 선禪 수행에 대한 탐구를 진지히게 하고 있다.
한편 이 책이 수립한 선 사상과 선 수행에 대한 새로운 독법인 〈그 법설의 언어가 지시하는 내용을 ‘발생시키는 조건들’을 성찰하는 ‘연기적 사유 밥법론’〉은 지눌과 성철의 언어를 읽는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이 길은 지눌의 ‘이해에 의한 깨달음’(解悟)과 그에 의거한 돈오점수 그리고 그에 대한 성철의 비판을 둘러싼 학계와 불교계의 배타적 쟁론 양상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것은 지눌과 성철에 대한 이해와 평가의 틀을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지눌과 성철이 합세하여 열어주는 길은, 〈이해수행과 마음수행이 각자의 구분되는 역할을 제대로 보전하면서도 상호관계와 상호작용이 고도화되는 길〉이다.
아울러 이 책에서 제시한 새로운 독법과 방법론은, 선 사상과 선 수행 및 불교학 탐구에 새로운 활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붓다를 만나는 새로운 길, 붓다의 길을 펼치는 새로운 방식의 수립에도 일조할 것을 기대한다. 흥미로운 것은, 한반도 토착 불교지성을 대표하는 원효, 지눌, 성철의 불교 이해가 이 새로운 독법을 지지하는 성찰을 펼치고 있다는 점이다. 원효와 지눌, 성철은 한반도 토착 불교지성인 동시에 세계적 거봉들이다. 이들이 함께 열어주는 길에서 피어나는 만다라曼陀羅는 오래전 붓다가 열어준 중도中道의 길이면서 지금 우리가 넓혀 가야 할 길 - 그 ‘오래된 새길’의 경이로운 장관壯觀이다.
.
* 백련불학총서는 불교사상, 불교수행, 불교신행, 불교문화 등 불교와 관련된 내용을 심도깊게 담아내는 불교학 총서로서 ‘지혜와 마음의 등불’이 되고자 합니다. 접
저자 : 박태원